리액티브 시스템은 단어 그대로 반응을 잘 하는 시스템 입니다. 책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즉각 반응함으로서 지연 시간을 최소화 한다라고 표현 했는데, 보통 리액티브가 아닌 시스템도 즉각 반응은 하기 때문에 좀 더 넓은 의미로 해석하여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reactivemanifesto.org/ko
리액티브 선언문에서 지향하는 리액티브 시스템의 설계 원칙은 아래 그림 하나로 명확하게 설명 됩니다.
리액티브 시스템에서 주요 통신 수단으로 무엇을 사용할 것인지를 나타냅니다.
리액티브 시스템은 비동기 메시지 기반의 통신을 사용합니다.
1번의 메시지 기반 통신을 통하여 어떠한 형태를 지니는 시스템으로 형성되는지를 나타냅니다.
그림에서처럼 리액티브 시스템은 탄력성과 회복성을 가지는 시스템이여야 합니다.
리액티브 시스템의 핵심 가치로, Means 의 비동기 메시지 기반 처리로 탄력성과 회복성을 갖추어 어떠한 상황에도 즉각적으로 응답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은 리액티브 선언문의 설계 원칙에 잘 부합하는 비동기 Non-blocking 통신을 위한 프로그래밍 모델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전 글 에서 처럼 Non-blcking 과 비동기는 다른 개념이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In computing, reactive programming is a declarative programming paradigm concerned with data streams and the propagation of change.
컴퓨팅 분야에서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은 데이터 스트림 및 변화 전파와 관련된 선언적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전통적인 프로그래밍 형태로, C나 Java 처럼 컴퓨터가 수행할 동작을 순서대로 명시해 놓은 형태입니다.
선언형 프로그래밍은 실행할 동작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달리 실행할 동작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단순한 목표만 선언하는 방식입니다.
여러 문서를 보고 느낀 차이는 바로 추상화의 정도 입니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할때 방법을 정확히 명시하는데에 비해, 선언형 프로그래밍은 조금 두루뭉술하게 명령합니다.
코드로 보면 감이 더 잘 올듯 합니다.
int sum = numbers.stream()
.filter(number -> number > 6)
.mapToInt(number -> number)
.sum()
위의 예시는 흔히 쓰는 java 의 스트림 API 를 사용한 예제인데, for 문 같은 구체적인 반복문을 안쓰고 “필터링 해줘~”, “그 숫자 다 더해줘” 처럼 메서드만 선언하고 구체적인 동작은 스트림 내부에서 처리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선언형 프로그래밍입니다. 코틀린 컬렉션 API 에서는 더욱 적극적으로 선언형 프로그래밍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실제로 작성하는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코드는 크게 Publisher, Subscriber, Data source, Operator 등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Publisher 과 Subscriber 은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전반적으로 계속 등장하는 용어이니 잘 알아두는것이 좋겠습니다.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에서는 입력으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발행자, 생산자로 불립니다.
Subscriber 은 Publisher 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사용하는 주체입니다.
보통 구독자라고 불리나, 데이터를 소비하는 관점에서는 소비자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Publisher 의 입력으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대표하는 용어이며, 이는 Data Stream 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Publisher 로 부터 전달된 데이터가 Subscriber 로 전달되기 전에 가공 처리를 담당하는 것이 Operator 입니다.
선언형 프로그래밍에서 map filter reduce 등을 떠올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